코로나19가 길어지면서 다들 힘들지만 미혼모 가족은 어떤 변화와 어려움에 처했을까요? <br /> <br />한번 보십시오. 미혼모 가정 약 360 가정을 조사를 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소득이 25% 정도 줄었다는 거고요. <br /> <br />코로나19 이후에 직장이 어떻게 됐느냐. 58%는 직장을 잃게 됐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. <br /> <br />가난한 가정의 소득 변화는 이렇게도 살펴봐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한번 보십시오. 경제활동을 안 하고 정부 지원에만 의존한 미혼모 가정은 소득이 오히려 11% 정도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왜냐하면 코로나 긴급지원금 같은 게 있으니까요. <br /> <br />경제활동을 하러 열심히 나가서 일을 한 미혼모 가정은 오히려 예전보다 소득이 33% 줄어든 것으로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일터에 가서 일을 하면 소득이 줄고, 일을 좋으면 차라리 소득이 조금 늘어나는. 간단히 설명하자면 이런 배경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십시오. 한부모 가정에 정부가 복지지원을 하는데 2인 가구를 기준으로 해서 160만 원 밑으로 벌면 유지가 되는데 저 이상 벌면 지원이 끊깁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지원을 받을 것이냐, 일자리를 선택할 것이냐, 이 갈등에 늘 쌓이게 되는 거죠. 여기에 코로나19 충격이 더해진 것이죠. <br /> <br />보시면 어린이집이 갑자기 등원이 안 되고 학교가 등교가 안 되니까 아이들이 집에 있으니까 일자리를 놓고 아이를 보러 집에 머물고 정부지원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지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 휴업, 폐업, 일자리가 사라져버리기 때문에 비자발적으로 휴직하는 경우도 생기는데 오히려 아이 문제 때문에 자발적으로 휴직하는 프로테이지가 더 높은 게 아마 보이실 겁니다. <br /> <br />30:27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가 끝난다 해도 미혼모 가정의 어려움은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시작이 됩니다. <br /> <br />보십시오. 왜 일자리를 얻어서 일을 안 하고 있습니까라고 물었더니 자녀가 맡길 곳이 없어서 기초생계수급자로 가난하게 살고 있어서. 본인이 너무 힘들어서, 불안정해서. 직업훈련 지금 막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구하려고 했는데 못 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다음에 이제 막 출산, 육아 때문에 휴직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자녀가 너무 힘들어해서 자녀 곁을 못 떠납니다. 이런 답들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가 끝나도 다시 시작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오늘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정책예산이 발표됐습니다마는 이미 우리 품 안에 있는 아이들을 차별과 소외 없이 잘 기를 수 있도록 그것부터 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33119200129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